안녕하세요 하스터디입니다!
오늘의 이것뭐에요 사회정치 용어는
공수처
입니다 ~ 따란~
공수처란,
'고위 공직자 범죄 수사처'랍니다,
생겨난 이유?
이는, 고위 공직자들의 비리와 권력형 범죄를
독립적으로 수사하고자 해서 생겨 났답니다.
경찰과 검찰이 있고, 거기에 공수처를 세우면서
우리가 사는 사회에 공정성과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생겨났어요.
그 대상이 되는 자는
대통령, 국회의원, 판검사, 검찰총장, 검사, 경찰 고위직 등.
고위 공직자와 이들의 가족들이 포함된답니다.
이들과 관련된 범죄를 수사하고,
기소도 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어요.
설립 배경
1. 비리 :
과거에 있었던 권력층의 비리 범죄가 반복되면서
사법 시스템(검,경)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었어요.
고위 공직자라고 하면 실제 수사, 기소에 한계를 만드는 거죠.
(제대로 봐준다는게 뭔지 보여준다,,)
2. 검찰의 권력 비대 :
경찰은 수사권은 갖고 있고 기소권은 갖고 있지 않아요.
검찰은 수사권과 기소권 둘 다 갖고 있죠.
*수사권 : 증거 수집, 용의자 추적, 피의자 체포 및 조사, 기소는 검찰에 넘긴다.
*기소권 : 범죄가 법원에 넘겨져 재판을 받게 될지를 결정하는 절차.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소, 불기소 여부를 결정.
기소되면 법정으로~
경찰이 열심히 수사해서 넘겼대도
검찰에서 기소하지 않으면 해당 사건은 흐지부지 끝나게 되니까,
'공수처'를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해서 나왔고 그렇게 설립되게 되었어요.
그럼 공수처를 견제 할 수 있는 기관이 있나?
공수처는 결론적으로 '검찰'을 견제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에요.
공정성을 지키고자 만들어졌지요.
때문에 공수처 역시 검찰이 견제가 가능해요.
사건을 임의로 덮을 수 없게 말이죠.
독립된 기구
고위 공직자를 수사하는 기관인 만큼, 대통령 직속이나 국무총리 산하가 아니에요.
이 덕에 독립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지요.
아직 설립 초기 단계라 그런가
성과와 한계가 분명해 보이지만,
꼭 필요한 기구임을 한번 더 깨닫게 하는 것 같네요.
이렇게 '공수처'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:)
어렵지 않게 설명해보고 싶었는데 잘 했는지 모르겠네요 @_@
다음에 또 다른 용어를 들고 올게요!
그럼 이만~ 💫
'사회 이슈 (이것 뭐에요?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딥디크 아니고 딥시크... 맞아요...?" 🐬 딥시크(DeepSeek)에 대해 알아보자! (0) | 2025.01.29 |
---|---|
트럼프 행정 명령에 대해 알아보자! (0) | 2025.01.21 |
국세청 홈택스, 정부24... - 연말정산은 어디서? [ 국세청 홈택스 ! ] (0) | 2025.01.15 |
공조본 10시 33분, 윤석열 체포 영장 집행 [ 사회 정치 용어랑 친해지기 ! ] (0) | 2025.01.15 |
사회 정치와 친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? 그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🛹 (0) | 2025.01.15 |